전체 글69 ~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_ 부자의 언어 부자의 언어 249p_난제 "자네 문제가 뭔지 말해줄까? 자넨 생각이 너무 많아. 일이 일어나게 내버려 두고, 핑계를 만들어내. 모두가 바쁘고, 모두가 저마다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그건 그냥 삶의 한 부분이야. 삶은 문제의 연속이고, 그걸 받아들여야 성장해. 우리 모두 좌절을 해. 그리고 인생은 나만 특별하다는 생각을 하지 말았으면 훨씬 쉬워지지. 자네 문제도 다른 사람들과 같다는 걸 받아들이게나!" 경제적 자류를 추구하기 시작했을 떄 나는 종이 한 장을 꺼내 특별한 목표를 쓰고 그 아래에 "~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를 쓰곤 했다. 그러고 나서 빈 종이를 응시하고,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를 기다리며 마음으로 가능성들을 상상했다. 매일 빈 종이에 목표에 관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섯 개씩 적었다. 매일 문.. 2023. 1. 21. 역행자_06 95%의 순리자로 살 것인가? 5%의 역행자로 살 것인가? 역행자의 7단계 모델 1단계 자의식 해체 2단계 정체성 만들기 3단계 유전자 오작동 극복 4단계 뇌 자동화 5단계 역행자의 지식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단계 역행자의 쳇바퀴 "사실 직장은 인생이라는 장기적인 문제에 대한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_ 로버트 기요사키 -축구를 잘하는 법- 1. 기본근력을 다진다 2. 축구기술을 15가지로 나누고, 이를 매일 연습한다. 3. 실제 축구경기를 뛰면서 자신의 훈련법이 맞는지 확인한다.(실행) 게임에서 반복적으로 패배하면서 자신의 한계를 확인한다.(메타인지) 4.1번으로 돌아간다. 이를 몇 년 반복하면, 실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된다. 테니스 좋아하는 입장에서 매우 동의한다. 기본적으로 라.. 2023. 1. 20. 역행자_05 95%의 순리자로 살 것인가? 5%의 역행자로 살 것인가? 역행자의 7단계 모델 1단계 자의식 해체 2단계 정체성 만들기 3단계 유전자 오작동 극복 4단계 뇌 자동화 5단계 역행자의 지식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단계 역행자의 쳇바퀴 "누구도 전쟁에서의 승리를 보장할 수 없다. 다만 그럴만한 자격을 갖출 수 있을 뿐이다."_ 윈스턴 처칠 인간의 뇌는 단순함을 좋아하고 그 안에서 평안을 찾는다. 이런 것들에 만족을 하면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을 매우 꺼린다. 선사시대에는 먼저 나서면 죽을 확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새로운 것을 도전할수록 자신의 가치는 곱하기가 될 수 있는 시대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에 새로운 도전을 더하는 순간 달라진다. 기버 이론 _ 역행자는 1을 받으.. 2023. 1. 19. 역행자_04 95%의 순리자로 살 것인가? 5%의 역행자로 살 것인가? 역행자의 7단계 모델 1단계 자의식 해체 2단계 정체성 만들기 3단계 유전자 오작동 극복 4단계 뇌 자동화 5단계 역행자의 지식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단계 역행자의 쳇바퀴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몇백 년 전에 살았던 가장 훌륭한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다."_ 르네 데카르트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파트다. 바로 '뇌의 복리' 개념이 나온다. * '신경 가소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인간의 뇌는 사용하기에 따라 신경세포들을 새로 만들어낸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쓸수록 좋아진다는 것이다. 우리의 뇌는 최적화를 한번 해두면, 날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나이가 들수록 더욱더 강해진다. 우리의 신체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퇴화할 수밖에 없는데, .. 2023. 1. 18. 역행자_03 95%의 순리자로 살 것인가? 5%의 역행자로 살 것인가? 역행자의 7단계 모델 1단계 자의식 해체 2단계 정체성 만들기 3단계 유전자 오작동 극복 4단계 뇌 자동화 5단계 역행자의 지식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단계 역행자의 쳇바퀴 "지식보다 더 자주 자신감을 낳는 것은, 바로 무지다."_ 찰스다윈, [인간의 유래] 3년 전에 언급된 [클루지]를 이제야 이해했다. '세련되지 못하고 양간 엉망인 해결책'을 뜻하는 겁쟁이 클루지에 우리의 오작동이 일어난다. 우리의 자기 계발을 방해하는 큰 장애이고 평생을 순리자로 살게 만드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다. 선사시대부터 야생에 남겨진 우리들은 살아남기 위해 사회생활에 최적화되게 진화했다. 자기 평판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고, 남 이야기에 놀라울 정도로.. 2023. 1. 18. 가난할수 밖에 없는 3가지 (주PD_구사임당) 1. 우리는 사람들의 돈을 어떻게 하면 가져올 수 있을까? 앤드류테이트는 그의 영상에서 뺏는 것이고 쟁취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이번 신사임당의 이야기는 뺏어오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교환하는 행위라고 표현하였다. 나에겐 두 번째 표현이 더 와닿았다. 솔직히 둘 다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하지만 생각의 접근방법 차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게임을 하면서 많은 시간과 돈을 쓴다. 게임 개발사는 유저에게 몬스터를 잡고 캐시를 지르는 것이 엄청나게 중요한 가치라는 세계관을 만들어 놨다. 유저들은 그 가치가 돈과 시간보다 중요하게 받아들이게 되면서, 그들의 돈과 시간을 투자해 레벨업을 한다. 여기서 게임회사는 돈을 벌고, 유저들은 레벨업과 즐거움을 얻는다. 하지만 이것을 유도한 것은 게임회사이기 때문에 주체성은.. 2023. 1. 18. 인간의 뇌는 부정어를 이해할 수 없다. 인간의 뇌는 부정어를 이해할 수 없다. "코끼리를 제외한 동물들을 떠올려보세요." 당신의 머릿속엔 코끼리가 지나가고 있다. 우리는 뇌에게 하지 말라고 명령할 수 없다. 더 집중할 뿐이다 스키선수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다. ”스키를 타고 나무에 부딪히지 마세요 “라는 말을 듣는 순간 눈앞에는 나무만 펼쳐진다. 반대로 길을 찾으라고 말해보자. 그러면 눈 앞에는 수많은 눈길들이 보인다. 명령 한마디였을 뿐이다. "뇌는 집중할 뿐이다." 우리의 삶에서 장애물에 집중하면 장애물만 보인다. 그런데 나무 사이의 길만 집중하면 나아가는 길만 보인다. 세상은 변하지 않았다. 그냥 내가 집중한 것이 달라졌을 뿐이다. 부정적인 생각에 집중을 하면 정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부정적 생각의 연쇄효과는 정말 전염병처럼 퍼져나.. 2023. 1. 18. 역행자_02 95%의 순리자로 살 것인가? 5%의 역행자로 살 것인가? 역행자의 7단계 모델 1단계 자의식 해체 2단계 정체성 만들기 3단계 유전자 오작동 극복 4단계 뇌 자동화 5단계 역행자의 지식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단계 역행자의 챗바퀴 "어떤 자질을 원한다면, 이미 그걸 갖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라."_ 윌리엄 제임스 자의식을 해체했다면, 이것은 컴퓨터의 포멧상태와 비슷하다. 포멧 된 자의식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 바로 정체성 만들기다. 정체성은 삶의 동기다. 자동차의 연료와 같이 사람도 정체성이라는 연료를 가지고 살아간다. 이 정체성을 얼마나 자유자재로 이용하는지에 따라서 우리가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의 중·고등학교의 정체성은 단순히 그림을 그린다는 행.. 2023. 1. 17.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